TODAY : 0 / TOTAL : 0

[121205]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폴더 살펴보기

  • Share this:
반응형
ㅁ assets 폴더
 - 애플리케이션 배포시 리소스가 저장되는 폴더.
 - res 폴더에 저장되는 리소스와 다른 점은, 이곳에 저장된 리소스들은 raw 형태로 패키징 되고, AssetManager 클래스를 통해서 읽어와 사용하게 됨.
 

ㅁ bin 폴더
 - 컴파일된 자바 클래스가 저장되는 폴더
 - 프로젝트를 컴파일 하고 나면, 다음과 같이 구성 됨.
 classes 폴더  컴파일 된 자바코드들
 classes.dex  실행가능한 컴파일된 자바코드
 *(앱 이름).apk  리소스들이 모두 포함된 압축 파일
 *(앱 이름)-debug.apk  설치 가능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


ㅁ gen 폴더
 - 프로젝트를 최초 빌드하면 gen 폴더 하위 루트에 R.java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됨.
R.java 는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, 이미지, 레이아웃, 스트링등 모든 리소스를 가리키는 인덱스 파일로, XML 코드와 자바와 연동하여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클래스임.
( WindowsAPI 에서 resource.h 파일을 생각하면 된다. ) 
* R.java 파일은 절대로 임의 수정하면 안됨.

ㅁ Referenced Libraries 폴더
 - 애플리케이션이 플요한 외부 JAR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


ㅁ res 폴더
 -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레이아웃/이미지/스트링(문자열) 등 컴파일된 자바 코드와 함께 패키징되는 리소스 저장 폴더.
 ㅇ anim 폴더 : 애니메이션을 지정하는 xml 형식 문서 저장.
 
 ㅇ drawable 폴더 : png, jpeg 등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해두는 곳.

 ㅇ layout 폴더 : UI Layoout 관련 xml 문서 파일
   -  해당 xml 문서로 Activity 의 UI를 구현할수 있음.


 
ㅇ menu 폴더
    - menu 관련 xml 형식 문서가 있는 폴더.
 
ㅇ raw 폴더
    - 컴파일 되지 않은 리소스들을 저장해두는 폴더.
       Ex) 계정정보, 레퍼런스정보를 담은 파일
    -  Java 코드에서는 Resources.openRawResource() 메소드를 이용하여 리소스 접근.
 
ㅇ values 폴더
    - 스트링(문자열) 오브젝트 크기등을 나타내는 xml 형식의 문서파일이 저장되는 폴더   

 arrays.xml  array 정의
 colors.xml  스트링(문자열), drawables 값의 색상 정의
 strings.xml 레이아웃XL / 자바 내부에서 사용할 string 값 정의
 styles.xml  화면 스타일 / 테마 정의



ㅁ src 폴더
 - (기본 프로젝트 생성시) "com.example.helloandroid" 밑에 "HelloAndroid.java" 와 같이 소스코드가 생성됨.
 (HelloAndroid 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이름입니다. 프로젝트 생성시 MainActivity의 이름을 따라서 파일로 생성됨.


ㅁAndroidManifest.xml
 -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(Activity, Service 등등) 정보 및 보안 그리고 버젼등과 관련된 정보를 가짐.

ㅁbuild.xml
  - 리눅스 Ant Script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컴파일하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 인스톨하는데 사용되는 컴파일 정보를 가짐
ㅁdefault.property
  - Ant Script 가 빌드할때 사용하는 프로퍼티 파일



반응형